전체 글 (8)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장,야간 및 휴일근로와 수당계산하기 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는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연장근로, 휴일근로, 야간근로에 대해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물론 포괄역산방식의 근로조건이나,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는 가산적용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연장, 휴일 및 야간근로의 이해 1) 연장근로 법정근로시간(하루 8시간)을 초과한 근로시간에 대해서 사용자는 연장근로수당(100%) 및 연장근로 가산수당(50%)를 모두 지급하여야 함 단시간 근로자는 법정근로시간(하루 8시간)이내 이더라도 소정근로시간(사용자와 근로하기로 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는 연장근로 가산수당(50%)를 지급해야 함 2) 야간근로 야간근로는 당일 저녁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법정휴일과 대체공휴일 이해하기 법정휴일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합니다. 보편적인 회사에서는 일요일을 유급휴일로 정하고 쉬는 날이지만 유급으로 보장받고 있습니다. 또한, 법정휴일로 근로자의 날, 관공서 공휴일, 대체공휴일이 있으며, 이러한 법정휴일은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근로기준법 제55조 제2항,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2조 및 제3조에 의해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니, 사용자께서는 법정휴일에 대해서 어디까지 적요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운영하셔야 합니다. 법정휴일에 근로자에게 근로를 하게 하는 경우는 그에 따른 보상과 다른 방법으로 대체해야 하며 위반 시 벌칙(제110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음을 유념하셔야 합.. 연차유급휴가와 연차수당 계산하기 연차 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1년에 80% 이상 출근한 경우 그다음 연도에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또한, 1년 미만으로 근무한 근로자 및 1년간 80% 미만 출근한 근로자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월차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차 유급휴가는 근로자가 유급으로 쉴 수 있는 제도로 정신적,육체적 휴양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위함에 그 의의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칙적으로 연차 유급휴가를 근로자가 쉴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1. 연차 유급휴가의 부여 근로자가 1년간 80% 이상을 출근하면 그 다음해에 15일이 부여됨 출근일은 정상적으로 출근하여 근무한 날를 의미 하나 다음의 경우에는 출근한 것으로.. 임금(급여)명세서 교부 바로알기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급여) 명세서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그 방법은 서면, 전자 등의 방법을 구분하지 않고 근로자에게 제공하면 되고, 명세서의 내용에는 임금의 구성항목 및 계산방법, 공제내역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제공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임금(급여) 명세서 교부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 임금의 대한 정확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임금(급여)에 대한 액수 등의 다툼의 소지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1. 임금(급여)명세서 교부 의무화 「근로기준법」제48조 제2항에 근로자가 확인 가능할 것 전자문서에 의한 임금명세서 교부 여부 판단 사내 전산망 입력 - 입력된 때 교부한 것으로 볼 수 있음 이메일,문자메시지,카카오톡 등 메신저로 임금명세서를 발송 - 발송.. 근로계약서 누구나 쉽게 작성하기 모든 사용자는 근로자를 고용할 때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동등한 지위에서 근로계약서를 작성 교부하여야 합니다. 단, 근로계약관계는 구두(말로써 고용조건을 합의한 경우)로도 가능하지만, 근로관계에 있어 분쟁이 발생할 경우 여러 가지 법정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서면으로 근로계약서를 작성해 두어야 사용자나 근로자 모두 근로계약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근로계약서를 작성 할 때 반드시 명시(기록)해야 할 내용과 고용형태(정규직, 기간제, 단시간, 일용직 등)에 따른 주의 사항 등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근로계약서의 근로조건의 명시(글로 꼭 기록해야할 사항) 「근로기준법」제17조에 따라 근로계약서를 작성 할 때는 반드시 명시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임금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 유급.. 이전 1 2 다음